[실무연구자료]명도소송기간중월세, 계속 받을 수 있을까? 현실 답변드립니다


본문
명도소송기간중월세 문제로 고민하는 임대인이 의외로 많습니다. 소송이 길어지면 보증금만 묶여 있고 월세까지 끊기는 것이 아닌지 두려워하시죠. 첫 번째로 기억할 것은 명도소송기간중월세 청구가 ‘불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계약해지 통보가 적법했고 점유권 회수가 쟁점일 뿐이라면, 임차인이 부당 점유한 기간의 차임을 별도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명도소송기간중월세를 인정받으려면 내용증명으로 차임 채권을 명확히 해 두어야 하고, 강제집행 단계에 대비해 판결문에 차임 부분이 포함되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법도 명도소송센터에는 변호사가 1명(엄정숙 부동산전문변호사) 있습니다. 경험상 임대인이 소를 제기하면서 명도소송기간중월세 청구를 빠뜨리는 사례가 종종 있었습니다. 이 경우 판결이 확정된 뒤 다시 차임을 청구하려면 별도의 소송비용과 시간을 써야 하므로 처음부터 함께 제기하는 편이 효율적입니다.
실무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째, 임대인은 계약해지 시점부터 판결 확정 전까지 발생하는 월세를 ‘부당이득 반환’ 또는 ‘차임 상당 손해배상’ 명목으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임차인이 자발적으로 명도를 이행할 가능성이 있다면 협상 카드로 명도소송기간중월세를 일부 양보해 주는 전략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셋째, 판결 후 강제집행으로 넘어갈 상황이라면 집행권원에 월세 부분이 포함되어야 집행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강조합니다. 명도소송기간중월세는 ‘받을 수도 있고 못 받을 수도 있는 애매한 돈’이 아닙니다. 절차를 알면 받을 수 있는 정당한 권리입니다. 궁금한 점은 전문가가 무료상담을 진행해드리니 부담 없이 물어보세요.
댓글목록0